외부로그인 스킨의 제작 2. 외부로그인 스킨은 제로보드 디렉토리에 outlogin_skin 디렉토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 기본으로는 default 와 nzeo 디렉토리 2가지가 있습니다. 2. 즉 이 디렉토리 이름이 외부로그인 스킨 이름이 되는 것입니다. 2. 자신이 원하는 형식으로 외부로그인 스킨을 만들고 싶다면 default 디렉토리를 원하는 이름으로 바꾸시거나 2. 복사하시면 됩니다.
2. 그럼 직접적인 스킨 제작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외부로그인 스킨 디렉토리에는 2개의 파일과 하나의 디렉토리가 있습니다. 2.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2. 2. logged.html : 로그인 된 회원일 경우에 표시되는 파일 2. 2. login.html : 비회원의 경우 로그인 하는 폼이 포함된 파일 2. 2. images : 외부로그인 스킨에 사용되는 이미지 모음
2. 그럼 제로보드의 아웃로그인 스킨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2. * outlogin_skin 디렉토리 내의 README.TXT 파일의 내용과 동일합니다. 2. * Default 외부로그인 스킨을 응용하시면 만들기 쉽습니다. 2. * 아래에서 [dir] 등은 약속된 코드입니다.
2. - 로그인 파일 : login.html 2. - login.html 파일은 외부로그인 사용시 출력될 로그인 폼입니다. 2. - 다음 세부분은 절대 수정하지 마세요. 2. - <form name=zb_login
method=post action="[action]" onsubmit="return zb_login_check_submit();"> 2. - 위의 3줄을 제외한 나머지는 마음껏 수정하셔도 됩니다. 2. - 다음은 각 표시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2. - [action] : 로그인 하는 페이지 2. - [s_url] : 현재 페이지
2. - 그리고 login.html 파일에서 사용되는 기본 이미지는 다음 3가지입니다. 2. - 아래 3가지 이미지는 꼭 images 디렉토리에 해당되는 이름으로 위치하여야 합니다. 2. - i_login.gif : 로그인 버튼 2. - i_join.gif : 회원가입 버튼 2. - i_help.gif : 비밀번호 분실 버튼
2. - 로그인 되었을 때 : logged.html 2. - 로그인 되었을때의 화면입니다. 2. - [name] : 이름을 표시합니다. (쪽지함의 링크까지 되어 있습니다) 2. - [memo] : 쪽지 화면 표시입니다. 2. - [logout] : 로그아웃 버튼입니다. 2. - [level] : 회원의 레벨 표시입니다. 2. - [info] : 정보수정 표시입니다. 2. - [point] : 회원의 포인트 입니다 2. - [write_num] : 지금까지 쓴 글의 숫자입니다. 2. - [write_comment] : 지금까지 쓴 코멘트의 숫자입니다. 2. - [join_date] : 가입일입니다. 2. - [admin] : 관리자일경우 관리자 버튼입니다. 2. - 위의 8가지 항목을 원하는 곳에 넣으시면 됩니다.
2. - 그리고 아래 5개의 이미지 및 1개의 flash파일은 꼭 같은 이름으로 outlogin_skin/images 디렉토리에 2. - 있어야 합니다. 2. - i_memo_on.gif : 쪽지가 왔을때 반짝이는 아이콘 2. - i_memo_off.gif : 쪽지가 오지 않았을때 가만 있는 아이콘 2. - i_logout.gif : 로그아웃 아이콘 2. - i_info.gif : 정보 수정 아이콘 2. - i_admin.gif : 관리자 페이지 접근 아이콘 2. - i_memo.swf : 쪽지가 도착함을 알리는 목소리 2. - 로그인 폼을 고치실때 위의 아이콘도 고치시면 됩니다
2. - 로그인/로그아웃 상관없는 코드 2. - [total_member_connect] : 현재 접속해 있는 회원수입니다. 2. - [total_guest_connect] : 현재 접속해 있는 비회원수입니다. 2. - [total_connect] : 현재 접속해 있는 총 접속자수입니다. 2. - [dir] : 외부로그인 스킨의 경로입니다. 2. - [dir] : 외부로그인 스킨 자료실에 데이타를 넣고 <img src=[dir]a.gif> 라고 하시면 자동으로 2. - [dir] : 경로를 찾아서 바꿉니다. |